KTX 자유석과 입석, 무엇이 다를까?
KTX 자유석이란?
- 운영 조건: 평일에만 운영, 일반석이 매진된 경우에만 구매 가능
- 이용 방법: 코레일톡 앱, 자동 발매기, 역 창구에서 구매 가능
- 요금: 일반석보다 약 5% 저렴 (서울-부산 기준 약 3,000원 차이)
KTX 자유석을 잘 이용하는 법
- 출발지에서 탑승하기: 출발지에서 탑승하면 빈자리가 많아 앉을 확률이 높습니다.
- 미리 플랫폼에 도착하기: 출발 30분 전에 플랫폼에 도착해 열차에 탑승하면 자유석 자리를 확보할 가능성이 큽니다.
- 빠르게 자리 선점하기: 열차 출발 5~10분 전에는 사람이 많아집니다. 일찍 움직이는 것이 유리합니다.
KTX 입석이란?
KTX 입석은 정해진 좌석 없이 서서 가야 하는 시스템입니다. 자유석과의 주요 차이점은 운영 방식과 조건입니다.
- 운영 조건: 주말과 공휴일에만 운영, 일반석 매진 시 구매 가능
- 이용 방법: 서서 이동하며, 간이 좌석을 사용할 가능성도 있음
- 요금: 일반석보다 약 15% 저렴
자유석과 입석의 차이점
항목 | 자유석 | 입석 |
---|---|---|
운영 요일 | 평일 | 주말 및 공휴일 |
좌석 유무 | 빈자리에 앉을 수 있음 | 좌석 없음, 서서 이동 |
운임 할인율 | 일반석 대비 약 5% 저렴 | 일반석 대비 약 15% 저렴 |
구매 조건 | 일반석 매진 시 구매 가능 | 일반석 매진 시 구매 가능 |
편의성 | 좌석이 확보될 가능성 높음 | 서서 가야 하므로 불편함 |
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까?
자유석 추천: 평일에 이동하며 앉을 확률이 높은 경우, 짧은 거리 이동 시
입석 추천: 주말이나 공휴일에 열차를 꼭 이용해야 하는 경우, 대체 교통수단이 없을 때
알아두면 좋은 팁
- 조기 도착 필수: 자유석과 입석 모두 자리 확보를 위해 일찍 플랫폼에 도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간이 좌석 노리기: 입석 승객이라면 각 호차 통로에 있는 접이식 간이 좌석을 확인하세요.
- 예매 우선순위: 일반석을 먼저 예매하고, 매진 시 자유석이나 입석을 선택하세요.